반응형 책리뷰14 [책리뷰/시리즈/2회차]: <설국>을 읽다. – ②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 속의 이야기들이 깨어났다” 1. 첫 문장에 깃든 설국의 모든 것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雪國)이었다.”밤이 흰 눈으로 희미해지고, 기차는 작은 신호소 앞에 멈춰 선다. 맞은편 좌석의 여인이 다가와 창문을 활짝 열어젖히는 찰나―찬 공기, 눈송이, 그리고 낯선 설경이 독자의 시야를 파고든다. 『설국』을 다 읽고 다시 첫 페이지로 돌아와 이 문장을 열댓 번쯤 곱씹다 보면, 긴 터널 사이로 빨려 들어가듯 순식간에 ‘눈의 나라’로 이송되는 체험을 하게 된다. 일본 문학계가 ‘명문장’이라 부르는 이유도 그 압축성 때문이다. 불과 한 줄로 “현실 → 경계 → 환상”을 뛰어넘는 장면 전환, 독자 각자의 머릿속에서 무한히 확장되는 잔상―결국 첫 문장은 작품 전체의 미학을 미리 보여주는 거울이다. 지금도 일본 드라마, 만화, 광고에서.. 2025. 7. 21. [책리뷰/시리즈/1회차]: <설국>의 저자를 읽다. - 가와바타 야스나리에 대해 1. 어색한 일본 문학 도전기 나는 일본 고전 문학에 익숙하지 않다.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음악은 자주 접해보았지만, 일본 문학은 뭔가 낯선 느낌이었다. 내가 읽었던 일본 문학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 와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 소설 몇 권 정도였다. 내가 읽었던 문학 서적들은 서구권 작품이 대부분이다. 서구 문학은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이나 분위기가 매우 다채롭다. 발생하는 사건도 극적인 경우가 많다. 이런 문체와 스토리 덕에 서구 문학은 재미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고, 자주 읽게 됐었다. 그 반면 지난 번 읽었던 나츠메 소세키 작가의 도 그랬지만 이번 도 전반적인 분위기는 매우 차분했다. 작품 전체에서 큰 일이 아예 벌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서구 문학의 극적인 내용 전개에 익숙해.. 2025. 7. 13. [책리뷰] 안네의 일기_안네 프랑크 어둠 속에서 찾는 희망 1. 들어가면서 「안네의 일기」 는 유대인 소녀 안네 프랑크가 2차 세계대전 전쟁 중 2년 간의 은신처 생활을 하면서 겪은 일에 대해 안네 프랑크 본인의 생각과 감정을 정리한 일기장, ‘키티’ 를 편집하여 발간된 책이다. 이 책은 안네 프랑크 본인에 의해 발간된 것이 아니다. 안타깝게도 안네 프랑크는 1945년 2월 말 또는 3월 초 베르겐-벨젠 수용소에서 장티푸스에 걸려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책은 안네의 사후, 유일한 생존자인 아버지 오토 프랑크에 의해 1947년에 발간되었다. 일기장이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조력자였던 미프 하이스의 기지 덕분이었다. 1944년 안네 일가의 은신처가 발각되고 안네를 포함한 은신처 동거인 8명이 수용소로 잡혀간 직후 미프 하이스가 안네의 일기장을 발견하고 가.. 2025. 6. 11. [책리뷰] 순수의시대_이디스워튼, 사회적 테두리 속 순수의 잔재에 대해 1. 도화지, 그리고 순수 여기 하얀 도화지가 있다. 소유자는 이 도화지가 너무 소중했다. 그는 도화지의 하얀 색이 변하지 않도록 금빛 케이스에 넣어두고 이따금 열어서 눈으로 보기만 할 뿐, 도화지에 어떤 행위도 하지 않았다. 케이스에서 도화지를 열어 보던 어느 날, 그는 창밖에서 바람에 흔들리고 있는 새로운 도화지를 발견한다. 그 도화지에는 풍경화가 그려져 있었다. 풍경화는 유럽의 화려한 도시를 묘사하고 있었다. 그림 우측 귀퉁이에 그려진 커다란 교회 옆에 프랑스 국기가 그려진 걸 보니 아마도 프랑스의 어느 소도시 같았다. 자신이 동경하고 있던 낭만의 국가 프랑스에 대해 그려진 그 도화지가 마음에 들었다. 풍경화가 그려진 도화지는 보면 볼수록 매력이 넘쳤다. 그는 이 도화지를 자신의 소유로 만들고 .. 2025. 4. 13. [책리뷰] 모비딕_허먼멜빌, 인간의 욕망, 그리고 자연과의 공존에 대해 1. 와 2015년, 영화 를 본 적이 있다. 이 영화는 1820년 침몰했던 포경선 에식스(Essex)호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에식스호는 1819년 낸터킷 섬에서 항해에 오른다. 그러나 15개월 뒤 남태평양의 한 가운데서 길이 30m, 무게 80톤짜리 성난 향유고래의 습격을 받고 침몰하게 된다. 침몰한 배에서 살아남은 21명의 선원들은 구명 보트 세 척에 나눠탄 채 표류하게 된다. 이들은 살아남기 위해 비참한 선택을 하게 되고, 21명 중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것은 8명뿐이었다. 에식스호 사건은 당시 미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허먼 멜빌은 ‘향유고래에 공격당해 침몰한 포경선’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이라는 소설을 집필하게 된다. 은 허먼 멜빌의 대표작이 되었고, 미국과 서구 현대 문학의.. 2025. 3. 23. [책리뷰] 파리는 날마다 축제_헤밍웨이, 성공에 대한 단상 1. 제목은 파리를 연상시키지만, 내용은 자서전이었다.에펠탑, 개선문, 루브르 박물관, 노트르담 대성당, 엘리제 궁전과 같은 멋진 건축물부터 샹젤리제 거리, 퐁뇌프 다리, 몽마르트 언덕같은 멋진 장소들까지 멋진 것들이 무수히 떠오른다. 한 번도 가보지 못했지만 가서 보고 듣고 느끼고 싶은 것이 무수한 도시가 바로 파리이다. 그래서 파리는 내게 신비의 도시와도 같은 곳이다.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읽어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던 것 같다. 파리는 날마다 축제라는 제목은 내게 헤밍웨이가 파리의 아름다운 풍경을 그린 책일 것이라는 상상을 하게 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파리에 대한 환상을 충족시켜줄 것만 같았다. 실상은파리에 대한 내용보다 헤밍웨이가 파리에 사는 동안 경험했던 것들에 대해 정리한 자서전.. 2025. 3. 2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